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1. 여랑야랑. 정치부 이현재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첫번째 주제입니다. 'OOO 때리려다'. 누굴 때린다는거죠? <br><br>네. 한동훈 법무부 장관입니다. <br> <br>김의겸 민주당 의원이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 심사 담당인 유창훈 판사에 대해 이렇게 말한 것이 발단이 됐습니다. <br> <br>[ 김의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, KBS 라디오 '주진우 라이브') ] <br>"(한동훈 장관이)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영장 전담 판사를 선택한 거죠. 그리고 그 선택된 판사가 하필이면 또 한동훈 장관의 서울대 법대 92학번 동기라는 점." <br><br>Q2. 한 장관과 유 판사가 서울대 법대 동기란건데, 사실인가요? <br><br>법무부는 오늘 바로 입장문을 내고 "한 장관과 유 판사는 서로 일면식도 없다"며 "김 의원이 가짜뉴스를 유포한 것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언론중재위 제소나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방안 등을 검토한다고 합니다. <br> <br>김 의원의 주장이 어디가 틀린지 알아보니까요. <br><br>유창훈 판사, 1973년생으로 한 장관과 나이는 같지만 한 장관은 92학번, 유 판사는 재수를 해서 93학번이라고 합니다. <br> <br>법조계 입문 시기도 한 장관이 사법연수원 27기로, 29기인 유 판사와 달랐습니다.<br><br>Q4. 김 의원이 사과는 했나요? <br><br>사과는 없었습니다. <br> <br>SNS에 해명글을 올렸는데요. <br><br>"취재 과정에 구멍이 있었나보다"라며 실수를 일부 인정했지만, "정보를 준 법조인이 '나, 한 장관, 유 판사 모두 92학번 동기'라고 말해 믿지 않을 수 없었다"고 항변했습니다.<br><br>게다가 "한동훈 장관도 잔뜩 쫄아있다,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 발부에 자신의 운명도 걸려있기 때문"이라고 저격성 발언까지 덧붙였습니다. <br><br>Q. 김 의원과 한 장관의 이런 다툼이 한 두번이 아니죠? <br><br>김 의원, 한 장관에 청담동 술자리 의혹을 제기해 소송이 진행되고 있기도 합니다. <br><br>[ 김의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해10월) ] <br>"김앤장 변호사 30명 가량이 있었습니다. 그리고 윤석열 대통령도 청담동 바에 합류를 했습니다." <br> <br>[ 한동훈 / 법무부 장관 (지난해 10월) ] <br>"제가 저기서 노래를 부르고 동백아가씨를 했다고요? 3시 넘어서? 자신 있는 말씀이신가요?" <br><br>Q7. 두번째 주제입니다. 신기록 41. 윤석열 대통령이 보이는데, 어떤 신기록인가요? <br><br> <br>41. 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순방에서 진행한 양자회담 횟수입니다. <br> <br>4박 6일 간의 미국 방문을 마무리한 윤 대통령, 유엔총회 연설 후 대부분 일정을 2030 세계 엑스포 부산 유치전으로 보냈습니다. <br><br>[ 김은혜 / 대통령실 홍보수석 ] <br>"양자회담 외교사에 전례가 없는 강행군을 소화하고 있습니다. 밤낮을 가리지 않고 몰아치는 폭풍 일정입니다." <br><br>Q8. 어떤 나라를 만났습니까? <br><br>2030 세계 엑스포 개최지를 결정할 투표권이 있는 정상들을 주로 만났습니다. <br> <br>유럽 13개국, 아시아·태평양 8개국 등 41개국 해외 정상들에게 부산 엑스포 유치를 적극 홍보했는데요.<br> <br>우리 대표부에 회담장을 2개 이상 만들어놓고 윤 대통령이 회담장들을 오가며 회담을 소화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[ 김태효 / 국가안보실 1차장 (그제) ] <br>"(의전 요원들이) 상대국 정상을 제시간에 모셔오는 첩보작전을 하루종일 수행하기도 했습니다." <br><br>Q9. 양자회담을 이렇게 많이 가진 건 본 적이 없는 것 같은데, 기네스북 등재 얘기도 나왔던 것 같은데요? <br><br>결론부터 말하면 불가능 하다고 합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정치, 외교, 정무 문제는 기네스북에 등재하지 않는 것이 원칙"이라고 설명하면서도 "한 달 동안 60개 이상의 양자회담은 세계 외교사에 없던 일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> <br>오는 11월 말, 2030 세계 엑스포 개최지가 결정되는데요. <br> <br>그동안 숨가쁘고 치열한 외교전을 펼쳐온 만큼 좋은 결과가 나오길 기대해봅니다. (부산신화)<br /><br /><br />이현재 기자 guswo1321@ichannela.com